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대상 빅데이터 체계 구축의 가능성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체계 구축을 위한 제안점을 도출함으로써 청소년 빅데이터 체계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함은 물론 정형 빅데이터와 비정형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 분석을 시도함으로써 청소년관련 이슈에 대해 어떻게 예측이 가능한지를 확인해 보고 청소년빅데이터 체계가 추후 청소년관련 미래변화나 정책수요를 예측하고 위험요소를 조기 발견, 예방하는데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등에 관한 구체적 방안을 도출,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 국내·외 문헌 고찰, 빅데이터 분석방법론에 관한 콜로키움, 외국의 빅데이터 체계 구축 및 활용 사례 검토, 청소년 핵심 온톨로지 개발, 빅데이터 체계 구축, 활용 방안 등에 대한 전문가 자문, 전문가 심층면접, 전문가 설문조사, 정책협의회 등을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가 심층면접 결과 청소년 빅데이터가 실질적으로 다루어야 할 사안과 관련하여 응답자들은 크게 생애설계적 관점과 생애수정적 관점을 강조하였다. 둘째, 전문가 설문조사 결과 공공 영역 빅데이터 사용시 불편하거나 개선했으면 하는 사항으로 개인정보 보호로 인한 접근의 제한성이 37.5%로 가장 많았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 빅데이터 체계 구축 방안 및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보고서 바로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