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NS를 통하여 전송되는 데이터양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면서 많은 국가와 기업에서 새로운 경제적 효과와 일자리 창출, 그리고 사회적문제의 해결을 위해 빅데이터의 활용과 분석을 적극적으로 시도함
•
SNS 상에서 나타나는 자살 등 사회위험 요인에 대한 감정표현이나 심리적 위기 행태들을 분석하게 되면 위험징후와 유의미한 패턴을 감지하여 사회위험 요인을 예츨할 수 있음
•
민간기관의 검색포털이나 SNS의 비정형 빅데이터의 수집ㆍ분류와 함께 정부나 공공기관의 정형 빅데이터와 연계한 후, 다변량 분석을 실시하여 사회위험 요인을 예측하고 대책을 수립할수 있음.
•
보건복지 빅데이터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사회위험과 불확실성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국가차원의 사회위험관리 빅데이터 분석 센터의 설립이 필요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