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Duplicate

실험9) 청소년 인프라 지수

행정안전부에서는 전국 251개 시군구중 89곳을 '인구감소지역'으로 지정했습니다.
KYWA 태블로 페이지에서 인구감소 지역 및 청소년 인구변화 그래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행정안전부에서 산출한 8가지 지표 중 청소년과 관련있는 지표에는 '유소년비율'이 있었습니다.
* 행정안전부의 인구감소지표에서 만 9~14세의 유소년 비율을 지표로 설정했기에, 이번 실험에서도 해당 나이를 '유소년 인구'로 지정했습니다.
이번 실험에서는 전국 251개 시군구의 청소년 인구대비 유소년 인구와 청소년들이 이용하는 교육 및 생활시설들의 현황정보를 모아 '청소년 인프라 지수'를 생성했습니다.
분석에 사용한 데이터
청소년 인구데이터 - 국가통계포털 (2020년 기준)
유소년 인구데이터 - 국가통계포털 (2020년 기준)
전국 학교(교육기관) 현황 - 교육부 나이스 교육정보개방포털(2020년 기준)
전국 학원(교습소) 현황 - 교육부 나이스 교육정보개방포털(2020년 기준)
유치원 현황 - 교육부 교육통계(2020년 기준)
아동복지시설 현황 - 보건복지부 사회복지시설정보시스템 (2020년 기준)
청소년 복지시설 - 여성가족부, 보건복지부 사회복지시설정보시스템 (2020년 기준)
청소년수련시설 현황 - 여성가족부(2020년 기준)
먼저, 인구감소지역의 유무에 따른 청소년과 유소년 인구수의 평균을 비교해보았습니다.
인구감소지역의 청소년인구 평균은 약 7배, 유소년 인구는 약 7.5배
인구감소 지역의 청소년인구 평균은 6925명, 인구감소지역이 아닌 곳의 청소년 인구 평균은 49,236명으로 약 7배라는 큰 차이를 보였습니다.
'유소년 인구수'의 평균 또한 2,248명과 16,766명으로 7.5배로 나타났습니다.
서울특별시,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제주특별자치도, 울산광역시, 광주광역시 를 제외한 11개 시도의 지역들이 인구감소지역으로 지정되었습니다.
인구감소지역과 그렇지 않은 곳들의 청소년들이 이용하고 있는 환경은 어떻게 다를까요?
학교, 학원(교습소), 유치원, 수련시설, 아동복지시설, 청소년복지시설을 '청소년 인프라'로 묶고, 한 눈에 볼 수 있게 시각화 해보았습니다.
아동복지시설청소년복지시설은 다음과 같은 시설들을 포함합니다.
* 아동복지시설 : 아동 양육시설, 아동복지시설 및 지역아동센터 데이터
* 청소년복지시설 : 청소년쉼터, 청소년자립지원관, 청소년회복지원시설, 청소년상담복지센터, 학교밖 지원센터
평균과 중간값을 살펴보면 수련시설과 청소년복지시설에는 큰 차이가 없는 반면, 다른 시설들은 큰 편차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평균과 중간값으로 확인하는 것을 넘어, 각 시군구들의 청소년들의 생활환경의 현황을 살펴볼 수 있는 지표가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에 '청소년 인프라 지수'를 생성하게되었습니다.

청소년 인프라 지수

각 시군구별 수련시설, 학교, 학원교습소, 유치원, 아동복지시설, 청소년복지시설 수를 변수로 선정 후 상대분산을 통한 변수별 가중치를 계산한 결과로 인프라 지수를 산출했습니다.
*상대분산(변동계수) : 측정단위가 서로 다른 자료를 비교할 때 쓰임. 변동계수값이 클수록 상대적인 차이가 크다는 것을 의미함.
변수별로 중요도가 다르기에 '상대분산'을 이용하여 가중치를 계산했습니다. ex) 학원교습소의 '50'과 유치원의 '50'은 같은 수이지만, 중요도에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
각 데이터의 규모에 차이가 있기에 정규분포 형태로 만들어주기 위해 로그변환을 해서 각 데이터별로 지수를 생성했습니다. ex) 학원교습소와 다른 데이터들의 규모를 비교해보세요
이렇게 구한 6가지 지수들을 모두 더하여 '청소년 인프라 지수'를 생성했습니다.

분석과정

1) 상대분산을 통한 가중치 계산
변수별로 중요도가 다를 것을 고려해 가중치를 계산하여 각 변수의 값에 곱함
변수별로 단위가 다르므로 상대분산을 이용하여 가중치를 계산
변수마다 단위가 다른 것을 고려하여 데이터의 값들을 로그변환하여 계산
2) 최종 인프라 지수를 산출해 공간 시각화

분석결과

시군구별 청소년 인프라 지수 = 수련시설지수 + 학교지수 + 학원지수 + 유치원지수 + 아동시설지수 + 청소년시설지수
청소년들이 이용하는 교육, 활동, 복지시설을 변수로 지수를 산출했습니다.
지수 생성결과는 아래와 같으며, 인프라 지수가 높을수록 시설이 발달되어 있고, 지수가 낮을수록 시설이 부족한 것을 의미합니다.
인프라지수 상,하위 10개 지역
'서울 강남구'가 가장 높은 점수, '경북 울릉군'이 가장 낮은 점수로 산출되었습니다.
상위 10개중 8개의 지역이 수도권지역으로, 수도권 지역의 인프라지수가 월등히 높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최종 인프라 지수를 이용해 시각화 하여 표현한 것으로, 진할수록 인프라 지수가 높은 곳입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세종특별자치시가 6.73으로 가장 높고, 전라남도가 4.15로 가장 낮았습니다.
시군구별 상위 10위에 없었던 세종시가 1위를 한 것으로 보아, 수도권 내에서도 지역별로 편차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